[판례] 의결권의 액수는 회생채권확정의 소의 대상이 아니다.
- Case Study
- 2022. 9. 21. 10:34
의결권의 액수는 회생채권확정의 소의 대상이 아니다. - 회생채권자표에 기재된 사항 중 ‘의결권의 액수’가 회생채권확정의 소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(소극)
[대법원 2015. 7. 23. 선고 2013다70903 판결]
회생채권확정의 소는 회생채권자가 신고한 채권에 대하여 관리인 등에게서 이의가 있는 경우 이의채권의 존부 또는 내용을 정하여 권리를 확정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는 소인바, 회생채권자 등은 회생채권확정의 소송절차에서 이의채권의 원인 및 내용에 관하여 회생채권자표에 기재된 사항만을 주장할 수 있을 뿐 회생채권자표에 기재된 사항 중 의결권의 액수는 대상에서 제외된 점(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158조, 제173조, 제174조 제3항 등 참조)을 고려하면, 의결권의 액수는 회생채권확정의 소의 대상이 될 수 없다.
(COMMENT) 참고로 채무자회생법 제187조의 의결권에 대한 이의는 채무자회생법 제161조 제1항 또는 제164조 제2항의 이의와 달리 오직 관계인집회에서의 의결권의 존부 및 액만을 다투는 것으로 서로 성질이 다르다.
1998년 공인회계사 시험을 합격하고 삼일회계법인에서 공인회계사(KICPA)로 재직하면서 2005년 사법시험 합격(사법연수원 37기) 후 기업회생(법정관리), 법인파산, 분식회계 및 조세(세금)소송을 주요 전문분야로 하면서 2012년부터 서울회생법원 법인파산관재인으로 활동하고 있는 법무법인 여명의 임종엽 도산(회생/파산)·조세법 전문변호사는
'부도위기 극복을 위한 기업회생절차', '회사 청산을 위한 법인파산절차'에 대하여 '최적의 ONE STOP 서비스'를 제공해드립니다.
☎ 02) 532 - 3930
'Case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판례] 회생채권 소송절차 수계와 회생채권의 확정을 구하는 청구취지 변경 (0) | 2022.09.21 |
---|---|
[판례] 파산폐지결정에는 소급효가 없다 (0) | 2022.09.21 |
[판례] 파산관재인이 제3자의 파산채권자에 대한 채권양수 후 상계권 행사 (0) | 2022.09.21 |
[판례] 근로자 임금채권 지연손해금과 재단채권 (0) | 2022.09.21 |
[판례] 당사자표시정정신청서가 소송수계신청의 효력을 갖는지 (1) | 2022.09.21 |